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아로마티카 제로 스테이션’이 드디어 오픈했습니다! 아로마티카 제로 스테이션은 지속 가능한 환경과 뷰티를 지향하는 아로마티카 브랜드 철학을 만나볼 수 있는 복합문화 공간이예요.
더 많은 분이 지속 가능한 삶을 실천할 수 있도록 기존 브랜드 체험관에 티 카페, 아로마테라피 존, 플라스틱 방앗간 등의 공간을 추가한 ‘아로마티카 제로 스테이션’을 열었습니다.
SPACES
공간 알아보기
RECYCLING CENTER
플라스틱 소재별 분리 배출장
AROMATIC CAFE
아로마틱 카페
PLASTIC MILL
플라스틱 방앗간
AROMATHERAPY ZONE
아로마테라피 존
REFILL STATION
리필 스테이션
PRODUCT ZONE
아로마티카 존
AROMATIC GARDEN
아로마틱 가든
RECYCLING CENTER
플라스틱 소재별 분리 배출장
1
RECYCLING CENTER
플라스틱 소재별 분리 배출장
2
AROMATIC CAFE
아로마틱 카페
3
RECYCLING PROCESS ZONE
재활용 프로세스 존
4
PLASTIC MILL
플라스틱 방앗간
5
AROMATHERAPY ZONE
아로마테라피 존
6
REFILL STATION
리필 스테이션
7
PRODUCT ZONE
아로마티카 존
8
AROMATIC GARDEN
아로마틱 가든
REFILL
PRICE LIST
리필 가격표
제품명· 용량
그램(g)당 판매가 (단위: 원)
로즈마리 스칼프 스케일링 샴푸· 20L
35
티트리 퓨리파잉 샴푸· 20L
35
B5+비오틴 포티파잉 샴푸· 20L
30
퀴노아 프로틴 샴푸· 20L
31
사이프러스 딥 클렌징 샴푸· 20L
31
로즈마리 헤어 씨크닝 컨디셔너· 10L
30
B5+비오틴 포티파잉 컨디셔너· 10L
30
바이탈라이징 로즈마리 디콕션 토너· 8L
44
바이탈라이징 로즈마리 올인원 워시· 20L
42
수딩 알로에 베라 젤· 10L
25
시카 카밍 젤· 10L
24
내추럴 코코넛 클렌징 오일· 8L
88
서렌 바디워시 라벤더 & 마조람· 20L
48
에너진저 핸드워시 진저 & 그레이프프룻· 20L
45
서큘레이팅 바디오일 주니퍼베리 & 진저· 8L
110
유칼립투스 샴푸· 20L
15
유칼립투스 바디워시· 20L
14
아로마티카 퓨어니스 디쉬솝· 20L
15
로즈마리 스칼프 스케일링 샴푸바·
80
티트리 밸런싱 클렌징 바·
105
RECYCLING
PROJECT.
무한 플라스틱 싸이클
이번 플래그십 스토어를 오픈하면서 가장 먼저 시작해보고 싶었던 일은 바로 아로마티카만의 선순환 프로젝트였어요. 이름하여 ‘무한 플라스틱 싸이클’ 프로젝트! 생활 속 버려지는 플라스틱을 계속해서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아로마티카만의 자원 순환 캠페인을 기획했고, 그렇게 해서 탄생한 공간이 바로 이 ‘무한 플라스틱 싸이클’ 존이에요. 매장 입구 옆쪽에는 다 쓴 물건을 재활용할 수 있는 수거함이 설치되어 있어요. 우리 집 앞에 있는 재활용 수거함과는 다른 점이 있다면 바로 유리, PP, PE, OTHER 그리고 투명 PET와 유색 PET, 플라스틱 병뚜껑까지 세세하게 분류되어 있다는 거예요.
사실 하나의 소재처럼 보이는 제품도 PP, PET, PE, OTHER 등 여러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만약 이를 제대로 분리해서 버리지 않는다면, 쓰레기 선별장에서는 일반 쓰레기로 버려지기 마련이에요. 실제로 제로 스테이션을 찾은 고객이 재활용 수거함에 다 쓴 용기를 분리 배출하면, 이를 직접 선별하여 아로마티카 전기차가 수거해 재활용 플라스틱 용기로 만들어서 다시 아로마티카 제품으로 탄생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랍니다.
플라스틱 방앗간 가로수길점
무한 플라스틱 싸이클 존에서는 플라스틱을 재활용한 업사이클링 굿즈를 만드는 서울환경운동연합과 협업한 ‘플라스틱 방앗간 가로수길 점’도 만나볼 수 있어요.기존의 재활용 시스템에서 크기가 너무 작아 재활용이 어려웠던 작은 병뚜껑이나 플라스틱이 모이면, 사출기를 활용해 이를 녹여 비누 받침대로 만들어드려요.
추후에는 비누 받침대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활 굿즈로 업사이클링 할 예정이에요. 제로 스테이션 후문에는 올바른 분리 배출법을 배울 수 있는 ’분리배출 교육장’도 별도로 마련되어 있는데요. 그동안 분리배출이 가능한 소재와 불가능한 소재를 구분하는 것이 어려웠다면, 아로마티카 직원을 통해 분리배출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배울 수 있답니다.
4R
Re-think∙Reduce∙Reuse∙Recycle
아로마티카 업사이클링 프로젝트
PB보드 : 아로마티카에서 사용했던 목가구 집기를 파쇄해 리싸이클링하여 아로마티카 PB보드 목재를 사용해 제작한 가구와 집기
아일랜드 가구 집기: 내부 내형 아일랜드 가구 집기들의 내부에는 재사용한 벽돌을 이용해 조적하여 기초 틀을 구축한후 미장하여 마감한 가구사람이 직접 미장하는 핸드메이드 방식인 스타코 마감
내부 바닥재: 포보(친환경 인테리어 자재로 주목받고 있는 포보코리아)제품으로 사용
테라스 콩자갈 바닥: 기존 콩자갈 자재에 유리공장의 폐유리를 가공하여 혼합해 사용
종이죽 의자: 기존 2층 하우스 오브 아로마티카에서 사용했던 플라스틱 의자를 이한나작가가 폐지와 계란 트레이등을 녹여 종이죽으로 플라스틱 의자에 덧씌워 새로운 REUSE 작품으로 탄생
테라조 외부용 테이블: 기존 2층 하우스 오브 아로마티카에서 사용했던 철제 테이블을 컬러 재도장하고 상판은 폐유리 조각을 이용해 테라조처럼 제작아여 철제 집기와 조합으로 리유즈 할수 있도록 제작된 테이블
PB보드:아로마티카에서 사용했던 목가구 집기를 파쇄해 리싸이클링하여 아로마티카 PB보드 목재를 사용해 제작한 가구와 집기